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역사상 '충무공'은 몇 명일까? 그 이유는 무엇인가?

by pabal3 2025. 2. 15.

충무공은 이순신 장군만의 시호가 아닙니다. 조선 시대에는 총 9명의 장수가 충무공 시호를 받았으며, 고려 시대까지 포함하면 12명에 이릅니다. 충무공이란 시호는 국가에 큰 공을 세운 무신들에게 내려진 최고의 영예였습니다.

충무공을 표현한 그림
created with chatgpt

 

우리나라 역사에서 충무공이라는 시호를 받은 인물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흔히 충무공 하면 이순신 장군만을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여러 명의 뛰어난 장수들이 이 영예로운 시호를 받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충무공 시호의 의미와 역사, 그리고 이 시호를 받은 인물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충무공이란 시호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충무공(忠武公)은 국가에 큰 공을 세운 무신들에게 내려주는 시호입니다. '충(忠)'은 일신의 위험을 무릅쓰고 임금을 받드는 것을, '무(武)'는 적의 창끝을 꺾어 침입을 막고 위엄을 크게 떨쳐 적을 물리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우고 큰 공을 세운 장수들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영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총 9명의 장수가 충무공 시호를 받았습니다. 이들은 각자의 시대에서 나라를 위해 큰 공을 세운 인물들입니다. 그럼 이제 조선의 충무공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조영무(趙英茂): 조선의 첫 번째 충무공입니다. 그는 태종 이방원의 심복 부하로, 고려 말 개성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암살한 인물입니다.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에 봉해졌습니다.

2. 이준(李浚):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의 둘째 아들입니다. 세조 때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예종 초에 남이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충무공에 봉해졌습니다.

3. 남이(南怡): '소년 장수'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세조 때 무과에 장원급제하고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 1등에 올랐습니다. 여진 정벌에도 큰 공을 세웠지만, 27세의 나이에 억울한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4. 이순신(李舜臣): 가장 널리 알려진 충무공입니다. 임진왜란 때 한산대첩 등 수많은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어 나라를 구한 명장입니다.

5. 김시민(金時敏): 임진왜란 때 진주목사로서 3,800명의 군사로 2만여 왜군을 물리친 진주대첩의 영웅입니다.

6. 이수일(李守一): 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웠고, 1602년 병마사로 여진족을 소탕했습니다. 1624년 이괄의 난 때 반군을 대파하는 등의 공을 세웠습니다.

7. 정충신(鄭忠信): 임진왜란, 이괄의 난, 정묘호란 때 공을 세웠습니다. 무술에 뛰어났으며 천문, 지리, 의학, 복서에도 밝았던 다재다능한 인물이었습니다.

 

 

8. 구인후(具仁垕): 인조의 외사촌 형으로, 인조반정에 참여했고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습니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공을 세웠습니다.

9. 김응하(金應河): 광해군 때 강홍립을 따라 후금 정벌에 나섰다가 전사한 장군입니다.

이들 외에도 고려 시대에 3명의 장수가 충무공 시호를 받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사상 총 12명의 장수가 충무공 시호를 받은 셈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순신 장군만 충무공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을까요? 이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대의 영향이 큽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이순신 장군의 유적을 성역화하는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면서 본명보다도 충무공 시호를 내세웠습니다. 이로 인해 충무공하면 곧장 이순신 장군을 떠올리게 된 것입니다.

 

또한 역사교육의 부족도 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역사학자나 교사들이 '충무'란 공신 시호를 받은 사람이 이순신 장군뿐만 아니라 여러 명이란 사실을 제대로 가르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충무공은 이순신 외에 여덟 명이나 더 있기 때문에 충무공을 이순신 장군을 일컫는 대명사처럼 써서는 안 됩니다. 충무공이란 공신의 호를 사용할 때에는 '충무공 이순신'과 같이 반드시 그 뒤에 본명을 붙여야 옳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중국에서도 충무공이란 시호가 사용되었다는 것입니다. 중국인들이 존경하는 삼국시대 촉한의 승상 제갈량과 송나라의 명장 악비의 시호도 충무공이었습니다. 이는 충무공이란 시호가 동아시아 전체에서 뛰어난 무장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영예였음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역사상 '충무공'은 단 한 명이 아니라 여러 명이었습니다. 이는 우리 역사에 이순신 장군 외에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훌륭한 장수들이 많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들의 업적과 정신을 기억하고 배우는 것은 우리 역사를 더 깊이 이해하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갖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앞으로는 '충무공'이라는 말을 들을 때, 단순히 이순신 장군만을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 역사 속 수많은 충신과 명장들을 함께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역사적 인식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